세계의 바다는 산성화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표면의 70퍼센트는 바다입니다. 이 바다속에는 물고기들의 먹이인 많은 플랑크톤과 대기의 산소중에 절반정도를 생산하는 식물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인류의 60퍼센트 정도가 바다에서 얻은 해산물로 15퍼센트의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바다의 생태계는 수중뿐만 아니라 육지에 발을 디디고 사는 생명체에게도 중요한 관심사일겁니다.
하지만, 이러한 바다가 산업화로 인한 대기의 이산화탄소의 증가로 위험에 처해있습니다. 바다와 이산화탄소의 방출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어떠한 영향을 갖느냐고요? 이산화탄소가 바다에 녹아들면서 바로 바다가 산성화 되는 것이 문제입니다.
바다생물중에 바다속에 녹아있는 산성화된 물질을 가지고 껍데기나 뼈를 만드는 것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산성화되면서 이러한 껍데기나 뼈를 유지하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반면에, 일부 생물들은 광합성을 하기위한 이산화탄소가 충분해서 득이 되는것도 있다고 합니다.
대기상의 이산화탄소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고, 이중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바다가 산성화되기 시작했고, 과거 8.11에서 8.06pH로 올랐습니다. 이는 지난 30여년간 약 12%의 산성화가 이뤄졌다는 애기입니다. 그리고 250여년전 산업혁명부터 지금까지 26%산성화가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금과 같은 경제속도로 성장한다면 바다의 산성화는 2100년즘 170%가 나타낼 것으로 예상합니다.
늘 말씀드리지만, 자연현상은 한번 변하면 그것을 거슬러 되돌리기에는 엄청나게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암초를 이루는 산호나 연체동물에게 산성화는 그들의 껍데기나 뼈등을 유지하는데 민감한 부분입니다.
오메가라는 용어를 잠시 기억해둡시다. 이는 산성화가 조개나 뼈에 얼마나 위협을 보여주는지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2100년즈음에 문제가 더 심각해질것인데 극지방을 중심으로 낮아진 오메가값이 점점 적도지방을 중심으로 확대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산호가 파괴되는 비율을 높이고 이번세기 중반에는 산호의 탄생보다 파괴가 더 빠르게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세기말에는 모두 죽게 되고요.
지구에 탄생했을때 우리 지구는 금성처럼 이산화탄소가 가득찬 행성이었습니다. 어느날 비가 쏟아지고 모여서 바다를 이룹니다. 그리고 생명에 해로운 기체들이 바다에 녹아들기 시작하고, 식물들이 생겨나 광합성을 시작해서 대기에 산소를 이루고 또 생명체가 살수 있는 태양계 하나뿐인 지구로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살만한 환경을 갖추게 된것도 이산화탄소가 많은 나무에 의해 흡수가 되고, 또 그보다 많은 부분이 바다에 녹아들었기 때문입니다. 대기에 이산화탄소가 많으니 바다로 녹아드는 이산화탄소 역시 늘게되고 산성화로 인해 바다의 생태계도 변하고 있습니다.
당장 어떤 재앙이 일어난다기 보다는 여러 먹이사슬로 얽혀진 바다의 생태계가 이러한 외부요인의 변화로 인해 어떻게 될지 주의하여 모니텅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태평양의 왼편에서 원전사고로 방사능도 흘러들어가고, 또 산성화되기까지 바다의 신음소리가 오늘따라 더욱 크게 들리는 것 같습니다.
당신이 어떤 것을 할머니에게 설명해주지 못한다면,
그것은 진정으로 이해한 것이 아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날씨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기업이 고려해야할 이산화탄소 배출 비용 (1) | 2013.12.23 |
---|---|
눈뜬자들의 도시_투표율 떨어뜨린 빗방울 (3) | 2013.12.18 |
대설주의보 발표 기준은 신적설 5cm (4) | 2013.12.11 |
제3인류가 풀어야할 숙제, 기후변화 (4) | 2013.12.09 |
더워진 지구를 인위적으로 식힐 수 있을까 (2) | 2013.12.06 |
WRITTEN BY
- 제갈광명
이런저런 사는 이야기. 유한한 삶에서 조금이나마 의미있는 일을 남기고 떠나자. 조금더 행복해질 것.